[안내] 바다위키의 문서를 라이선스가 같은 다른 위키로 옮기거나, 라이선스가 같은 타 위키에서 바다위키로 문서를 가져올 때 반드시 가져온 위키, 문서명, 버전과 역사 링크 등의 출처 표기를 하셔야 합니다. 저작권 위반이 없도록 협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출처:http://www.adamsguns.com/fn1900.htm

북한제, 64식 권총. 7.62mm를 쓴다.
1. 개요
야전 분해 영상
1896년 존 브라우닝이 개발한 벨기에 FN社의 싱글액션식 자동권총.
정식명칭보단 브라우닝 No.1이나 브라우닝 M1900이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정식 생산은 1900년.
총성 3번만으로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해 아시아사의 흐름을 뒤흔든 세기의 권총이다.
2. 제원
종류 | 반자동 권총 |
작동방식 | 싱글액션 |
사용 탄약 | .32 ACP |
장탄수 | 7+1 |
전체길이/총열길이 | 172mm/102mm |
무게 | 625g |
3. 개발 역사
1895년, 존 브라우닝이 설계도를 작성해 이듬해인 1896년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 1890년대의 자동권총은 총신이 짧아 조준선이 짧고 이로인해 총열이 프레임에 고정되지 않아, 그저 화망을 치는 휴대화기 이상의 의미를 주기 어려웠다.
존 브라우닝은 이러한 점을 해결 하기 위해 발사반동으로 재장전되는 슬라이드 재장전 방식을 개량한 숏트 리코일 브라우닝 액션방식을 적용하여 기존 권총을 압도할 만한 휴대성과 살상능력을 가지는 것에 성공한다. 당시 기준으로 휴대성과 살상력도 적절했고, 가격도 매력적이라서 상당히 널리 쓰인 편이었다.
하지만 총기 역사상에서 이 총이 지니는 가장 큰 영향력은 바로 자동권총 중에서 최초로 슬라이드를 장착한 권총이라는 점이다.
존 브라우닝은 1897년, 벨기에의 회사인 FN 에르스탈에 설계 디자인을 제공했고 1899년 첫 생산을 시작하여 1900년에 총신을 122mm에서 102mm으로 20mm 줄이는 설계 수정을 거쳐 완성된다. 총신이 짧아지게 된 것은 사용되는 합금의 완성도가 올라갔고, 발사 반동으로 재장전 되는 슬라이드 재장전 방식의 에너지를 보다 집중시키기 위함이었다. 화망을 치는 기계가 조준사격이 가능해진 것은 총기계에 있어 일종의 혁명을 가져다 주었고 경찰용 제식권총과 민간인용 호신권총으로 빅히트를 기록하게 된다.
존 브로우닝은 콜트사에도 M1900의 설계도를 제공하는데 콜트사가 중간에 군용 제식 권총으로 설계 조정하며 휴대성 부분을 크게 깎아 먹어 어정쩡한 총이 되고 만다. 결국 벨기에제 M1900이 73만정이 생산되는 동안 콜트제 M1900은 꼴랑 3,000정 밖에 생산되지 않았고 생산품도 수리부품용으로 분해되는 굴욕을 겪게된다.
북한에서도 사용했는데 이 권총의 변형판인 64식 권총과 전용 소음기를 개발하여 60~70년대 남파 무장간첩들이 요인 암살용으로 써먹었다. 일반적인 권총과 달리 리턴스프링이 총열위에 있는 구조[1]인지라 소음기도 자연스레 일반적인 권총의 리턴스프링이 있을것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에 붙게 되는데 이러면 겉모습이 참 기묘해진다.
존 브라우닝은 이러한 점을 해결 하기 위해 발사반동으로 재장전되는 슬라이드 재장전 방식을 개량한 숏트 리코일 브라우닝 액션방식을 적용하여 기존 권총을 압도할 만한 휴대성과 살상능력을 가지는 것에 성공한다. 당시 기준으로 휴대성과 살상력도 적절했고, 가격도 매력적이라서 상당히 널리 쓰인 편이었다.
하지만 총기 역사상에서 이 총이 지니는 가장 큰 영향력은 바로 자동권총 중에서 최초로 슬라이드를 장착한 권총이라는 점이다.
존 브라우닝은 1897년, 벨기에의 회사인 FN 에르스탈에 설계 디자인을 제공했고 1899년 첫 생산을 시작하여 1900년에 총신을 122mm에서 102mm으로 20mm 줄이는 설계 수정을 거쳐 완성된다. 총신이 짧아지게 된 것은 사용되는 합금의 완성도가 올라갔고, 발사 반동으로 재장전 되는 슬라이드 재장전 방식의 에너지를 보다 집중시키기 위함이었다. 화망을 치는 기계가 조준사격이 가능해진 것은 총기계에 있어 일종의 혁명을 가져다 주었고 경찰용 제식권총과 민간인용 호신권총으로 빅히트를 기록하게 된다.
존 브로우닝은 콜트사에도 M1900의 설계도를 제공하는데 콜트사가 중간에 군용 제식 권총으로 설계 조정하며 휴대성 부분을 크게 깎아 먹어 어정쩡한 총이 되고 만다. 결국 벨기에제 M1900이 73만정이 생산되는 동안 콜트제 M1900은 꼴랑 3,000정 밖에 생산되지 않았고 생산품도 수리부품용으로 분해되는 굴욕을 겪게된다.
북한에서도 사용했는데 이 권총의 변형판인 64식 권총과 전용 소음기를 개발하여 60~70년대 남파 무장간첩들이 요인 암살용으로 써먹었다. 일반적인 권총과 달리 리턴스프링이 총열위에 있는 구조[1]인지라 소음기도 자연스레 일반적인 권총의 리턴스프링이 있을것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에 붙게 되는데 이러면 겉모습이 참 기묘해진다.
4. 역사를 만든 권총
근대사에 심취한 역덕후들은 한번쯤 들어보았을 이름이다. 1909년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에서 사용한 총이 바로 이것.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쏘기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한 이유는 다소 의견이 갈리는데, 워낙 많이 생산된 총이라 구하기 쉬워 선택했다는 설과 확실히 이토 히로부미를 죽여야 하기에 성능위주로 고른 후 구할 수 있는 것을 선택했다는 것으로 갈린다. 아마 둘다 충족해서 골랐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 총과 함께 의거에 성공하였다. 총기 번호는 262336.[2]
세계사적으로는 가브릴로 프린치프에 의해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이 총에 사망해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되었다고 잘못 알려져 있으나 FN M1910이라고 정정되었다.[3]
핀란드에서도 유명한데 러시아 식민지시절 핀란드 민족주의자 유진 샤우만이 핀란드 총독이던 니콜라이 보브리코브를 암살할 때도 이 총을 썼다.[4]
세계사적으로는 가브릴로 프린치프에 의해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이 총에 사망해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되었다고 잘못 알려져 있으나 FN M1910이라고 정정되었다.[3]
핀란드에서도 유명한데 러시아 식민지시절 핀란드 민족주의자 유진 샤우만이 핀란드 총독이던 니콜라이 보브리코브를 암살할 때도 이 총을 썼다.[4]
5. 미디어에서
- 암살(2015)에서 일본인 깡패들이 사용하였다.
- 밀정에서 의열단원들이 사용한다.
- 웹툰 실질객관동화에 나왔다.해와 달이된 오누이편
- 레드 데드 리뎀션 2에서 M1899 피스톨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6. 에어소프트건/모델건
오랜기간 동안 에어소프트건으로 발매한 회사가 여지껏 없었다. 모델건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는데 박물관 전시용이 수작업으로 제작된것 말고는 전무한 상황이였다. 수작업 모형은 단가가 비싼지라 수집가들이 수집을 목적으로 접근하기엔 일반적이지 않아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전시용도 한정 생산으로 일반판이 풀리긴 했지만 200만원인 금액대여서 여전히 엄두를 내기 어려운 금액이였다.
향간에는 모델건이던 에어소프트건이던 일본에서 만들지 않은 것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흉총이라서 업계가 꺼린다는 얘기가 있지만 그렇다기 보다는 시장성이 없고 총이 워낙 얇은 탓에 에어소프트 유닛을 넣기엔 기술상 어려웠기 때문에 상품화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발매예정은 광복절인 8월 15일 이였으나 출시일이 늦어져서 9월 18일에 출시 되었다. 색상은 검정과 은색 이며 탄피는 플라스틱과 금속이 동봉되어 있다. 장전, 탄피배출 기능만 있기 때문에 다소 심심하지만 외형감상이나 단순 소장을 생각한다면 나쁘지 않다. 초기물량은 메탈로 발매할 것이라고 했지만 아직까지 일반판이 발매되지 않은 상태다. 가격은 98000원.
향간에는 모델건이던 에어소프트건이던 일본에서 만들지 않은 것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인 흉총이라서 업계가 꺼린다는 얘기가 있지만 그렇다기 보다는 시장성이 없고 총이 워낙 얇은 탓에 에어소프트 유닛을 넣기엔 기술상 어려웠기 때문에 상품화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 모델건
발매예정은 광복절인 8월 15일 이였으나 출시일이 늦어져서 9월 18일에 출시 되었다. 색상은 검정과 은색 이며 탄피는 플라스틱과 금속이 동봉되어 있다. 장전, 탄피배출 기능만 있기 때문에 다소 심심하지만 외형감상이나 단순 소장을 생각한다면 나쁘지 않다. 초기물량은 메탈로 발매할 것이라고 했지만 아직까지 일반판이 발매되지 않은 상태다. 가격은 98000원.
- 에어코킹건
7. 둘러보기
[1] 리턴스프링과 총열의 위치가 바뀌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2] 일제가 증거품으로 압수한 이 총은 안타깝게도 관동대지진당시 망실되었다고 한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총기리뷰 유튜버 건들건들팀이 실총을 구입 레플리카로 제작 예정이며 안중근 기념관에 기증 예정이라고 한다.[3] 이 총기 역시 존 브라우닝의 작품이었다.[4] 아쉽게도 일련번호가 전해지지 않는다고 한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미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