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위키 이용 중 버그나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사랑방 스레드로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영화에 대한 내용은 트랜스포터(영화) 문서 참조.
초기 모델인 T1과 현행 모델인 T6
Volkswagen Transporter / Type 2[1] / Multivan
초기 모델인 T1과 현행 모델인 T6
목차
1. 개요
2. 역사
2.1. 1세대 (T1, 1950~1975)
2.2. 2세대 (T2, 1968~2013)
2.3. 3세대 (T3, 1979~1992)
2.4. 4세대 (T4, 1990~2003)
2.5. 5세대 (T5, 2003~2016)
2.6. 6세대 (T6, 2016~현재)
3. 기타
4. 미디어에서
5. 경쟁 차량
6. 둘러보기
1. 개요
2. 역사
2.1. 1세대 (T1, 1950~1975)
2.2. 2세대 (T2, 1968~2013)
2.3. 3세대 (T3, 1979~1992)
2.4. 4세대 (T4, 1990~2003)
2.5. 5세대 (T5, 2003~2016)
2.6. 6세대 (T6, 2016~현재)
3. 기타
4. 미디어에서
5. 경쟁 차량
6. 둘러보기
Volkswagen Transporter / Type 2[1] / Multivan
1. 개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폭스바겐에서 1950년부터 생산하는 LCV 차량으로 Type 1인 폭스바겐 비틀 다음에 나온 모델이라는 뜻의 Type 2라는 형식명을 받았다.
T1과 T2는 이름이 상당히 많기로 유명하다. 가장 유명한 Microbus나 Samba 외에도 Bus(미국), Camper(영국) 외에도 Delivery Van, Kombi, Pick-up, Transporter 같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3세대 이후의 트랜스포터 역시 트랜스포터, 멀티밴, 캐러벨, 캘리포니아 등 세부모델별로 여러가지 이름을 쓰고 있다. 트랜스포터라는 이름은 3세대부터 쓰기 시작했지만, Type 2로 팔렸던 T1과 T2도 트랜스포터의 계보에 포함시키고 있다. 2017년 현재 판매 중인 모델은 6세대인 T6이다.
승합차 형태의 미니밴 외에도 화물 밴, 싱글캡 및 더블캡 트럭 형태도 존재한다.
2. 역사
2.1. 1세대 (T1, 1950~1975)
![]() | ![]() |
1950년형 밴 | 1955~1958년형 밴 |
![]() | ![]() |
1958~1962년형 밴 | 1962~1967년형 밴 |
생산 기간 동안 미국에서는 포드 팰컨 밴, 도지 A100, 쉐보레 코르베어 밴 같은 원박스형 미니밴들과 경쟁했으며 유럽에서는 르노 에스타페트, 포드 트랜짓, DKW F1000 (후에 벤츠로 넘어가서 N1000, MB100으로 개명)과 경쟁했다.
'불리'라는 애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히피 문화에서도 자주 사용되었다.
1964년식은 특이한 기록이 있는데, 바로 "세계 최초로 슬라이딩 도어를 채택한 승합차"라는 기록이 있다.
현재 한국에 있는 T1 모델은 파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흰색/노랑 투톤컬러 콤비 한대,무한도전에서도 나왔던 진남색 흰색 투톤 콤비 한대,뚜레쥬르 강남점에서 배달차로 썼던 모델 한대가 확인되었다.모두 정식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으며,이 중 뚜레쥬르 강남점 배달차의 행방은 알 수 없다.
2.2. 2세대 (T2, 1968~2013)
![]() | ![]() |
1967~1972년형 밴 | 1972~1979년형 밴 |
이후에는 3년에 걸쳐서 점진적으로 변화된 T2b 모델이 도입되었는데, 첫 번째 모델은 둥근 범퍼와 90도까지 열리는 앞문을 장착했고, 1971년에는 1.6L 엔진의 각 실린더 헤드에 이중 흡기 포트를 장착하는 개량을 거쳤고, 앞바퀴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착했다. 최종 모델인 1972년형은 타입 4에 들어가는 1.7L~2.0L 엔진을 제공했고, 엔진이 대형화됨에 따라 공기 흡입구도 커졌으며, 테일램프의 크기도 커졌다. 유럽형 모델은 기존의 1.6L 엔진도 제공되었으나, 미국형은 1.7L 엔진이 기본 사양이었다.
1972년에 출시된 1973년형은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방향지시등을 전조등 위로 올렸고, 사각형 범퍼가 적용되었으며, 전면의 폭스바겐 엠블럼의 크기가 약간 작아졌다. 1973년에는 타입 4의 엔진이 장착된 모델에 3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할 수 있게 했고, 1974년에는 1.7L 엔진이 1.8L로, 1976년에는 2.0L로 배기량이 커졌다. 1978년에는 2.0L 엔진에 유압식 밸브 리프터를 장착하는 개량을 거쳤다.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강남로 979 에서 2015년 로드뷰로 보면 2세대 실물 차량 한대가 전시되어있다.
![]() | ![]() |
1988~2001년형 밴 | 2013년형 폭스바겐 콤비 라스트 에디션 |
2.3. 3세대 (T3, 1979~1992)
![]() | ![]() |
밴 모델 | 바나곤(Vanagon) 북미형 |
![]() | ![]() |
바나곤 캐럿 | 1992년형 멀티밴 라스트 리미티드 에디션 |
북미 시장에서는 바나곤(Vanagon)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비닐 시트가 적용된 바나곤 L, 더 많은 장비를 제공한 바나곤 GL, 그리고 캠퍼(Camper)와 위켄더(Weekender) 버전이 제공되었다. 캠퍼 버전은 말 그대로 캠핑카였고, 위켄더 버전은 주방, 냉장고 등 캠퍼에 장착된 일부 장비가 제거된 사양이었다. 1984년에는 볼프스부르크(Wolfsburg) 에디션이 제공되었는데,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한 개인용 시트 2개를 2열에 설치했고 3열에는 벤치시트가 설치되었다. 벤치시트의 경우 침대로 만들 수 있게 밑에 수납공간과 히터를 두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미니버스(Minibus)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유럽에서 T3가 단종된 이후에도 계속 생산되었는데, 1990년부터 아우디의 직렬 5기통 2.3 / 2.5 / 2.6L 엔진을 얹고 2002년까지 생산되었다.
1990년형 차량이 등장하면서 단종되었다.
2.4. 4세대 (T4, 1990~2003)
![]() | ![]() |
밴 모델 | 카라벨(Caravelle) |
1990년에 출시된 T4는 T1 시절부터 써 오던 RR 레이아웃을 버리고 앞엔진 전륜구동 방식의 새로운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원박스카 형식 대신 보닛이 있는 형태로 구조가 변경되었다. 이전 세대처럼 밴과 픽업트럭 모델이 존재했고, 휠베이스 2,920mm짜리 숏바디와 3,320mm짜리 롱바디가 있었다. 밴 모델은 2인승짜리 패널 밴과 2열 시트를 제공한 모델이 있었는데, 그 중 패널 밴은 전고 1,940mm짜리 노말 루프와 2,430mm짜리 하이 루프가 제공되었다. 3열 시트를 제공한 승합모델은 캐러벨(Caravelle) 또는 멀티밴(Multivan)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모든 승합모델은 슬라이드 도어를 조수석 쪽에만 설치하거나 양쪽 모두 설치가 가능했고, 테일게이트는 일반적인 해치백이나 왜건처럼 열리는 방식과 미니 클럽맨처럼 양쪽으로 열리는 방식이 제공되었다. 픽업트럭은 싱글캡이 숏바디를, 더블캡이 롱바디를 베이스로 했다.
출시 초기에는 직렬 4기통 1.8L와 2.0L, 직렬 5기통 2.5L 가솔린과 I4 1.9L, I5 2.4L 디젤엔진이 있었고,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변속기와 맞물렸다. 그 중 1.8L 사양은 1992년까지만 생산되었다. 1993년에는 I4 1.9L 터보디젤엔진이 추가되었고, 1995년에는 I5 2.5L TDI 디젤엔진이 추가되면서 1.9L 논터보 디젤 사양이 단종되었다. 1996년에는 VR6 2.8L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고, 1997년에는 2.5L 가솔린과 2.4L 디젤엔진의 출력이 소폭 상승했다. 1998년에는 2.5L TDI 엔진이 기존의 102마력(PS) 사양 외에도 88마력, 151마력 사양이 추가되었고, 그 중 151마력 사양은 TDI의 I 글자를 빨갛게 칠했다. 2000년에는 VR6 엔진의 출력이 140마력에서 204마력으로 상승했다.
북미 시장에서는 1992년부터 유로밴(Eurovan)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미국 상용 밴보다 작지만 미국 또는 일본 브랜드의 패밀리밴보다 컸다. 그래서 폭스바겐에서는 이 차의 크기를 이용해 슬로건을 "EuroVan: There's nothing mini about it", 즉 "이 차는 작은 게 아무것도 없다."라고 정했다. 승합모델은 숏바디 모델만 수입되었고, 캐나다 사양 기준으로 직렬 5기통 가솔린 엔진을 기본으로 장착하되, 2.4L 디젤엔진을 1993년에서 1996년 사이에 제공하기도 했다. 패널 밴 모델도 1993년부터 1997년 사이에 판매된 적이 있는데, 롱바디만 들어왔다. 미국에서는 판매 부진을 이유로 출시 첫 해에만 판매되었지만, 캐나다와 멕시코에서는 계속 판매되었다. 1999년에는 VR6 2.8L 엔진을 장착한 사양이 미국 시장에 재출시되었고, VR6 엔진 사양은 자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삼성자동차가 부진한 라인업의 강화를 위해, 90년대 후반에 도입 협상을 시도했지만 좌초되었다. 뜬금없이 닛산과 전혀 관계가 없는 폭스바겐인 이유는, 쿼터 제한으로 닛산의 RV 라인업을 도입할수 없었기 때문.
2.5. 5세대 (T5, 2003~2016)
![]() | ![]() |
전기형 트랜스포터 밴 | 전기형 캐러벨 |
![]() | ![]() |
후기형 트랜스포터 밴 | 후기형 멀티밴 |
2.6. 6세대 (T6, 2016~현재)
![]() | ![]() |
![]() | ![]() |
그 외에도 감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차선 변경 경보장치(Lane Change Assist), 충돌후 자동제동 시스템(Automatic Post-Collision Braking), 하이빔 어시스트 및 통합형 코너링 라이트가 포함된 안개등 옵션을 비롯한 고급 기술들이 투입되었고, 운전석과 조수석 에어백을 기본 장착했다. 또한 스타트&스톱 시스템과 제동회생 브레이크, 저구름저항 타이어를 포함하는 블루모션 테크놀러지가 기본 적용되어 연비를 대폭 개선했다.
라인업으로는 카라벨, 콤비, 셔틀, 캘리포니아 등이 제공되었으며, 장축형과 단축형을 고를 수 있었다. 캘리포니아는 비치, 오션의 2개 트림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본형인 비치는 7인승 좌석과 4인 침실을 제공하고 2층 침대가 딸린 수동식 팝업루프를 가지고 있었으며, 오션은 전동 유압식 팝업루프와 냉장고, 싱크대, 전용 대시보드가 장착되었다.[3] 이외에 연비에 초점을 두어 201마력 사양에 휠 스포일러, 높이를 낮춘 서스펜션, 전용 변속기 세팅, 저자세 타이어, 크루즈 컨트롤, 62mph(약 100km/h) 속도제한장치를 장착한 블루모션 사양도 출시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153g/km와 공인연비 리터당 약 20.4km/l을 기록했다.
3. 기타
![]() | ![]() |
마이크로버스 콘셉트카 (2001) | 불리(Bulli) 콘셉트카 (2011) |
- T1 모델의 디자인이 워낙 아이콘화돼서 이걸 가지고 어떻게 해보려는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콘셉트 모델들이 모터쇼에 간간히 끌려 나오고 있다. 가장 최근에 등장한 콘셉트카는 2017년 1월에 공개된 전기차 콘셉트카인 I.D. 버즈(Buzz)이며, 불리 콘셉트카는 시트로엥 C1과 기아 모닝의 짝퉁 전기차로 유명한 중국 요고모(Yogomo) 사에서 폭스바겐의 허락 없이, "Yogomo Jieshun"이라는 이름을 단 채 무단으로 양산화한 적이 있었다.
![]() | ![]() |
히피밴 | 레고 |
- 1960년대 반문화 운동 중 히피들의 상징과 같은 차량으로 이때에는 "히피밴(Hippie Van)"으로 불리기도 했다.
- 레고로도 출시되었는데 레고 자동차 4대장 중 첫째로, 2011년에 출시된 후 지금까지도 팔리고 있는 인기 제품이다. [4]
- T1 마이크로버스는 박준형의 첫차라고 한다. 그 당시 미국에서 대학을 다닐때 800달러를 주고 구입한 중고차였다고 한다.
- 트랜스포터 T6 멀티밴 검정색이 정유라가 올보르에 숨어있을 때 타던 차이다. 당시 JTBC 이가혁 기자가 차량 내부를 촬영하기도 했다.
- T4부터 쓰이기 시작한 전륜구동 플랫폼은 세로배치형으로 개조되어 폭스바겐 투아렉, 포르쉐 카이엔, 아우디 Q7 등 폭스바겐 그룹의 SUV 모델들에 쓰였다.
- 일반적은 밴 모델 말고 현대 리베로와 유사한 트럭 모델도 존재한다.
- 국내에는 판매되지 않는다. 다만 이삿짐 등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몇 대가 존재하긴 한다.
4. 미디어에서
- 2006년에 애니콜 CF용 뮤직비디오인 애니스타에서 이준기의 댄스팀이 타고 다니는 승합차로 T2가 등장하기도 했다.
- 카의 히피 캐릭터 필모어가 폭스바겐 T1를 바탕으로 한 전형적인 히피 밴의 모습으로 등장하다.

-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에서 등장한 것도 유명하다. 2011년 9월에 방영된 무한도전 스피드 특집때 멤버들이 탄 차로도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지게 된다. 당연하지만 해당 에피소드에서 사용된 T1은 1975년에 단종된 차량이라[5] 운전자, 승객 편의장치는 거의 없어서 운전할 수 있는 멤버는 수동변속기 운전이 가능한 유재석 뿐이었다.

- 버스커 버스커의 벚꽃 엔딩 뮤직비디오 초반에서 잠시 나온다.
버스커 버스커가 작은 버스를 타고…하지만 시동을 걸자마자 엔진이 나가는 바람에 그냥 두고 뛰어간다.[6] - 꼬마버스 타요에서 이 차를 모델로 한 캐릭터가 등장한다. 역할은 꼬마버스들의 큰형님 역할을 맡고 있는 씨투의 스승이자 아버지 같은 포지션에 있었던 할아버지 버스로 이름은 부바.
- 마작 만화인 사키 -Saki-의 고등학생 칸바라 사토미는 1세대 모델을 몰고 다닌다.

- GTA 산 안드레아스에서는 T1 모델이 캠퍼(Camper)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고, 미션 중에서는 주인공인 칼 존슨과 트루스(Truth)가 산 피에로로 갈 때 히피 도색을 한 캠퍼를 이용한다. 그리고 GTA 5에서도 이 차를 모티브로 한 "서퍼"(Surfer)라는 차가 존재한다. 스피드는 무척이나 느려서 유저들에게 인기가 없다.
- 포카리스웨트 2017년 CF에서 트와이스와 함께 T2 모델이 등장했다.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에서 미니버스라는 이름으로 T1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미라마에서 등장한다.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Special Transport DLC에서 호위차량으로 T6모델이 나온다.
- 애니메이션 러브라이브! 선샤인!! 2기 10화후반부에서 오하라 마리가 운전 하는 차로 나온다. 모델명은 T1 초보운전인데 수동변속기로 운전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근데 치카네 집에서 나올때 시동을 꺼먹었다 - 꼬마마법사 레미 3기에서 이동식 마법당 차량으로 나온다. 이동식 마법장으로 나온 차량은 T2모델.
- 캅 크래프트 3권에서 케이 마토바가 3번째로 지급 받은 오래된 차랑으로 나온다 기종은 T1모델.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3권 내용이 짤리는 바람에 쉐보레 콜벳 C1 전기형 모델이 새로 지급 받은 3번째 차량으로 나온다.
5. 경쟁 차량
6. 둘러보기
[1] T1, T2 한정[2] 1.9L는 84마력(PS) 및 102마력으로, 2.5L는 131마력 및 174마력 버전이 제공되었다.[3] 비치에서도 전용 대시보드는 옵션으로 고를 수 있었다.[4] 139,900원[5] 당연하게도 내부 부품은 싹 업그레이드를 한 것으로 보이나 변속기 교체나 에어컨 장착 등은 못한 모양.[6] 무한도전에 나왔던 그 차량으로, 이후에도 여러 행사에서 간간히 모습을 비추고 있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미작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