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바다위키의 대문, 도움말 문서 등 바다위키 네임스페스의 모든 문서는 직접 작성한 것이며, 엔하계 위키 특성 상 일부 구조가 유사할 수는 있어도 다른 위키 내용을 포크하거나 베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또한 문서를 포크하는 경우 저작권 안내 틀을 하단에 부착하고 있으며, 관련한 CCL도 준수하고 있습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틀:다른 뜻1]
[틀:-]
아기와 나 赤ちゃんと僕 Baby and Me | |
장르 | 순정만화 |
작가 | 라가와 마리모 |
출판사 | ![]() ![]() |
연재지 | 하나토유메 |
레이블 | 하나토유메 COMICS |
연재 기간 | 1991년 11호 ~ 1997년 14호 |
단행본 권수 | ![]() 9권 (애장판, 完) ![]() 15권 (2002년 애장판, 完) 9권 (2011년 애장판, 完) |
목차
1. 개요
2. 등장인물
2.1. 에노키家
2.2. 고토家
2.3. 후지이家
2.4. 키무라家
2.5. 타쿠야의 학교 친구들
2.6. 회사 사람들
2.7. 기타 등장인물
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3.1.1. 주제가
3.1.2. 회차 목록
1. 개요
2. 등장인물
2.1. 에노키家
2.2. 고토家
2.3. 후지이家
2.4. 키무라家
2.5. 타쿠야의 학교 친구들
2.6. 회사 사람들
2.7. 기타 등장인물
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3.1.1. 주제가
3.1.2. 회차 목록
[틀:-]
1. 개요
일본 만화. 전 18권 완결. 작가는 만화 뉴욕 뉴욕으로도 유명한 라가와 마리모.
하나토유메에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연재되었다. 일본에서는 2010년부터 9권 분량의 애장판으로 나오는 중. 한국에서는 오래 전 번안되어 대원씨아이에서 18권으로 출판하였고 2002년부터 고유명사를 바꾸지 않은 상태로 다시 애장판을 15권으로 출판하였다. 애장판은 기존판에서 수록되었던 단편을 모조리 없애고 순서도 자의적으로 바꾸었다. 현재도 몇몇 서점에서 절판본 없이 찾을 수 있는 물건. 종이의 질도 좋아졌는데 문제는 종이가 두꺼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제본 상태가 좋지 않아서 책장이 잘 뜯어지는 편.[1] 한국에서는 2011년 또 다시 애장판을 발간 일본과 마찬가지로 9권 완결 출판사는 동일하게 대원씨아이.
더불어 YWCA 서울모니터회가 뽑은 청소년 유해도서 만화책 330[2]에 2년 연속(1994, 1995년)으로 선정된 바 있다. 야리미조 메구미(이보배)가 남자애들 엉덩이를 만지는 장면과 후카야 시나코의 의도하지 않은 전면부 성추행 장면 때문에!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와 함께 사는 초등학교 6학년 윤진(타쿠야)과 그 동생 윤신(미노루) 간의 일상사를 다룬 풋풋한 이야기. 보고 있으면 초등학교 6학년짜리의 어른스러운 행동에 감탄하게 된다. 윤신을 비롯한 여러 어린아이들의 귀여운 모습과 재롱만으로도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 요츠바랑과 같이 시간에 따라 사건이 흐르고 있다. 1권에서 5학년 가을부터 시작해 마지막 권에는 1년 반이 지나있다. 계절 또한 흐름에 맞춰 그 계절에 맞는 에피소드가 그려진다.
내용은 대체적으로 좋은 작품이지만 작품 감상 시 주의할 점 몇가지가 있다.
첫째로, 이 만화가 90년대 초반 만화여서 현재 관점에서 보면 부적절한 내용이 은근히 있다. 아빠가 진이의 뺨을 때린다든지, 어른이 아기 앞에서 담배연기를 뿜는다든지 등등...
또한, 판본에 따라 삽화에 욱일기가 간혹 등장한다. 미노루(신이)가 욱일기를 흔들고 있다거나, 타쿠야(진이)의 군복에 떡하니 욱일기 마크가 있다거나. 옛날 일본만화에서는 간간이 등장하지만, 지금 만화 보는 입장에서 떡하니 욱일기가 있으니 당황스러워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3]
작가의 의도인지는 불명이지만 고인이 된 유카코와 막 아이엄마가 된 토모코를 제외한다면 주변캐릭터들의 어머니들은 주름이 있는것이 특지이다
하나토유메에서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연재되었다. 일본에서는 2010년부터 9권 분량의 애장판으로 나오는 중. 한국에서는 오래 전 번안되어 대원씨아이에서 18권으로 출판하였고 2002년부터 고유명사를 바꾸지 않은 상태로 다시 애장판을 15권으로 출판하였다. 애장판은 기존판에서 수록되었던 단편을 모조리 없애고 순서도 자의적으로 바꾸었다. 현재도 몇몇 서점에서 절판본 없이 찾을 수 있는 물건. 종이의 질도 좋아졌는데 문제는 종이가 두꺼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제본 상태가 좋지 않아서 책장이 잘 뜯어지는 편.[1] 한국에서는 2011년 또 다시 애장판을 발간 일본과 마찬가지로 9권 완결 출판사는 동일하게 대원씨아이.
더불어 YWCA 서울모니터회가 뽑은 청소년 유해도서 만화책 330[2]에 2년 연속(1994, 1995년)으로 선정된 바 있다. 야리미조 메구미(이보배)가 남자애들 엉덩이를 만지는 장면과 후카야 시나코의 의도하지 않은 전면부 성추행 장면 때문에!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와 함께 사는 초등학교 6학년 윤진(타쿠야)과 그 동생 윤신(미노루) 간의 일상사를 다룬 풋풋한 이야기. 보고 있으면 초등학교 6학년짜리의 어른스러운 행동에 감탄하게 된다. 윤신을 비롯한 여러 어린아이들의 귀여운 모습과 재롱만으로도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 요츠바랑과 같이 시간에 따라 사건이 흐르고 있다. 1권에서 5학년 가을부터 시작해 마지막 권에는 1년 반이 지나있다. 계절 또한 흐름에 맞춰 그 계절에 맞는 에피소드가 그려진다.
내용은 대체적으로 좋은 작품이지만 작품 감상 시 주의할 점 몇가지가 있다.
첫째로, 이 만화가 90년대 초반 만화여서 현재 관점에서 보면 부적절한 내용이 은근히 있다. 아빠가 진이의 뺨을 때린다든지, 어른이 아기 앞에서 담배연기를 뿜는다든지 등등...
또한, 판본에 따라 삽화에 욱일기가 간혹 등장한다. 미노루(신이)가 욱일기를 흔들고 있다거나, 타쿠야(진이)의 군복에 떡하니 욱일기 마크가 있다거나. 옛날 일본만화에서는 간간이 등장하지만, 지금 만화 보는 입장에서 떡하니 욱일기가 있으니 당황스러워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3]
작가의 의도인지는 불명이지만 고인이 된 유카코와 막 아이엄마가 된 토모코를 제외한다면 주변캐릭터들의 어머니들은 주름이 있는것이 특지이다
2. 등장인물
2.1. 에노키家
2.2. 고토家
- 고토 쇼타로(김종태)
- 고토 미츠(광자)
- 고토 쇼우키치(김정길)
- 고토 마미
- 고토 타다시(김장수)
- 고토 히로코/히로(김희야/용이)
2.3. 후지이家
에노키家와 더불어 집안 유전자가 상당히 우월하다. 6남매 모두가 훈남 훈녀.
- 후지이 이사오(임경업)
- 후지이 에미코(지예)
- 후지이 아케미(임미숙)
- 후지이 토모야(임훈)
- 후지이 아사코(임미선)
- 후지이 아키히로(임철)
- 후지이 이치카(임이랑)
- 후지이 마사키(임진우)
2.4. 키무라家
2.5. 타쿠야의 학교 친구들
- 모리구치 히토시(신승진)[6]
- 히로세 츠토무(김세중)
- 후카야 시나코(이은지)
- 야리미조 메구미(이보배)
- 타마다테 토키오(옥석)
- 나카니시 아유코(서유라)
- 쿠마데 미츠루(봉구)[8]
- 타무라 쌍둥이(칠수, 팔수/코믹스 11권에서는 칠봉, 팔봉)
- 타케나카 나나미(강지성)
- 히카케 스구루(성치)
- 히라이 카코&모에&키미
2.6. 회사 사람들
성우는 츠보이 토모히로.
- 엔도
- 히라마츠
- 야마자키 부장
- 안자이 리츠코
2.7. 기타 등장인물
- 무카이 요우지(김석기)
- 마유미 선생님
- 마츠모토 히데오(송민구)
- 칸노 히카루(유구홍)
- 카스가 준(김태호), 카스가 시호(서지민), 카스가 하야미(김승록)
- 아사히 유우키(조용기)[18]
- 마사(현욱)
- 쿄스케 엄마
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TV 도쿄 목요일 7시방영 애니 목록 | ||||
버추어 파이터(애니메이션)(1995~96) | ← | 아기와 나(1996)[24] | → | 마하 GoGoGo(1997) |
아기와 나 赤ちゃんと僕 | |
작품 정보 ▼ |
1996년에는 전 35화 완결의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TV도쿄를 통해 방영되었다. 그러나 원작의 인기에 비해 애니메이션의 실적은 별로 신통치 않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애니화하는 데에만 치중하다보니 다소 식상한 측면도 있었고 무엇보다 원작의 모든 내용을 다루지도 못한 채 어정쩡한 끝맺음을 한게 결정적이었다. 당시 같은 방송사에서 방영하던 아이들의 장난감이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대거 제작해서 원작과의 차별화에 성공하여 장기 방영을 했던걸 감안하면.....[25] 하지만 원작에서 나오지 않은 장면을 덧붙여 더 매끄럽게 스토리를 만드는 등의 장점도 있었으며 원작 완결 부분이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되어 원작팬들의 아쉬움을 어느 정도 달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1년 재능방송이 원어판으로 방영하다가 2개월 후 더빙판으로 계속 방영. 이후 판권이 만료되기 전 전편 논스톱 방영하고 방영을 하지 않다가 MBC Movies에서 애니를 방영할 때 재방송했다. 그리고 경인방송에서도 잠시 방영했다가 2014년 2월 24일 다시 재능방송에서 방영하기 시작했다. 국내판 오프닝은 가수 UN이 불렀고 엔딩은 성우 양정화가 불렀다. 덧붙여 재능방송답게 더빙의 퀄러티는 상당히 훌륭한 편. 다만 중복이 상당하다.[26] 다만 당시는 아직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덜 진행되어 있는 시기라 왜색으로 인한 미방영분이 있다.
3.1.1. 주제가
- 오프닝 테마 1 B.B.B. (Be Bad Boy) (1~27화)
- 작사, 노래: 코하시 켄지(小橋賢児)
- 작곡, 편곡: 토가시 아키오(富樫明生)
- 엔딩 테마 1 YOU (1~23화)
- 작사: 마이카 프로젝트(マイカプロジェクト)
- 작곡: 쿠마가이 사치코(熊谷幸子)
- 편곡: 쿠마가이 사치코, 마츠토야 마사타카(松任谷正隆)
- 노래: 쿠마가이 사치코
- 오프닝 테마 2 LOVE AFFAIR (28~35화)
- 작사, 작곡: 사사키 준(佐々木 享)
- 편곡: 모리토키 타츠미(守時龍巳) & PLATINUM PEPPERS FAMILY
- 노래: Platinum Peppers Family
- 엔딩 테마 2 ルージュになりたい (24~35화)
- 작사: 카지타니 미유키(梶谷美由紀), 사에키 켄조(サエキけんぞう)
- 작곡, 편곡: 아사모토 히로후미(朝本浩文)
- 노래: 카지타니 미유키
3.1.2. 회차 목록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泣き虫は嫌いだ!! 울보는 싫어!! | 토미타 스케히로 | 오오모리 타카히로 (大森貴弘) | 타카다 준 (高田 淳) | 모리야마 유지 | 日: 1996.07.11. 韓: |
제2화 | ママなんていらない!! 엄마같은 건 필요없어!! | 테라다 켄지 (寺田憲史) | 사카모토 고 (坂本 郷) | 이이지마 마사카츠 (いいじままさかつ) | 타카쿠라 요시히코 (高倉佳彦) | 日: 1996.07.18. 韓: |
제3화 | ゴンちゃんのおとうと? 곤의 남동생? | 오오하시 유키요시 (大橋志吉) | 혼다 카즈유키 (本田一行) | 카와시마 히로시 (川島 宏) | 하야시 케이코 (林 桂子) | 日: 1996.07.25. 韓: |
제4화 | 実のいたずら書き 미노루의 낙서 | 야나가와 시게루 (柳川 茂) | 타카다 준 | 카도노소노 메구미 (門之園恵美) | 日: 1996.08.01. 韓: | |
제5화 | 実はだれが好き!? 미노루는 이게 좋아!? | 토미타 스케히로 | 이이지마 마사카츠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6.08.08. 韓: | |
제6화 | みんなで海へ行った日 모두가 바다에 간 날 | 오오하시 유키요시 | 이시하라 타츠야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6.08.15. 韓: | |
제7화 | 怪談 ふしぎな女の子 괴담 신기한 여자아이 | 테라다 켄지 | 綴爆 | 마스오 쇼이치 (増尾昭一) | 타카기 히로키 (高木弘樹) | 日: 1996.08.22. 韓: |
제8화 | 花火の夜 불꽃놀이의 밤 | 야나가와 시게루 | 혼다 카즈유키 | 카와시마 히로시 | 하야시 케이코 | 日: 1996.08.29. 韓: |
제9화 | 洗濯戦隊シャボン5!! 세탁전대 샤본5!! | 오오하시 유키요시 | 타카다 준 | 타카쿠라 요시히코 | 日: 1996.09.05. 韓: | |
제10화 | 実のなんでもできるもん!! 미노루 뭐든 할 수 있는 걸!! | 토미타 스케히로 | 이이지마 마사카츠 | 타니구치 모리야스 | 日: 1996.09.12. 韓: | |
제11화 | うきうき町内運動会 신나는 마을 운동회 | 테라다 켄지 | 이시하라 타츠야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6.09.19. 韓: | |
제12화 | ビクビク!! お化け怖いー! 덜덜덜!! 귀신 무서워! | 야나가와 시게루 | 혼다 카즈유키 | 스즈키 타쿠오 (鈴木卓夫) | 하야시 케이코 | 日: 1996.09.26. 韓: |
제13화 | うさぎのさちこちゃん 우사기의 사치코 | 요코야마 마사시 (横山雅志) | 오오모리 타카히로 | 타카기 히로키 | 日: 1996.10.10. 韓: | |
제14화 | 園長先生がんばる! 원장 선생 힘낸다! | 오오하시 유키요시 | 사다미츠 신야 (貞光紳也) | 日: 1996.10.17. 韓: | ||
제15화 | おとうさんはおじいちゃん? 아빠는 아저씨야? | 요코야마 마사시 | 타카다 준 | 타카쿠라 요시히코 | 日: 1996.10.24. 韓: | |
제16화 | にーちゃ、元気になぁれ 형, 건강해져라 | 토미타 스케히로 | 이시하라 타츠야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6.10.31. 韓: | |
제17화 | ハロウィンな藤井君 할로윈은 후지이 군 | 테라다 켄지 | 혼다 카즈유키 | 스즈키 타쿠오 | 하야시 케이코 | 日: 1996.11.07. 韓: |
제18화 | 男ゴンちゃん!! 涙の初恋 남자 곤!! 눈물의 첫사랑 | 야나가와 시게루 | 綴爆 | 이이지마 마사카츠 | 치기라 유리 (千明ゆり) | 日: 1996.11.14. 韓: |
제19화 | おなかペコペコ事件 배가 꼬륵꼬륵 사건 | 요코야마 마사시 | 사다미츠 신야 | 고토 타카유키 (後藤隆幸) | 日: 1996.11.21. 韓: | |
제20화 | にーちゃの泣いた日 형이 우는 날 | 테라다 켄지 | 타카다 준 | 타카기 히로키 | 日: 1996.11.28. 韓: | |
제21화 | クリスマス みつけた 크리스마스 찾았다 | 오오하시 유키요시 | 이시하라 타츠야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6.12.05. 韓: | |
제22화 | え!? パパがお見合い? 에!? 아빠가 맞선? | 토미타 스케히로 | 쿠메 카즈나리 (久米一成) | 스즈키 타쿠오 | 하야시 케이코 | 日: 1996.12.12. 韓: |
제23화 | ないしょのおねしょ 비밀의 오줌싸개 | 이시하라 타츠야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6.12.19. 韓: | ||
제24화 | 帰ってきたドラ息子 돌아온 건달 녀석 | 오오모리 타카히로 | 사다미츠 신야 | 고토 타카유키 | 日: 1997.01.08. 韓: | |
제25화 | 実、おにーちゃんになる 미노루, 형이 되다 | 오오하시 유키요시 | 타카다 준 | 타카기 히로키 | 日: 1997.01.15. 韓: | |
제26화 | どすこい!? すもう大会 도스코이!? 스모 대회 | 야나가와 시게루 | 혼다 카즈유키 | 하라 히로시 (原 博) | 하야시 케이코 | 日: 1997.01.22. 韓: |
제27화 | スーパーおばあちゃん登場!! 슈퍼 아줌마 등장!! | 테라다 켄지 | 시마 미코 (島 美子)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7.01.29. 韓: | |
제28화 | 勇者みのるの大冒険 용사 미노루의 대모험 | 토미타 스케히로 | 이이지마 마사카츠 | 오오니시 타카코 (大西貴子) | 日: 1997.02.05. 韓: | |
제29화 | 心そわそわバレンタインデー 들뜬 마음의 발렌타인 데이 | 오오하시 유키요시 | 綴爆 | 사다미츠 신야 | 치기라 유리 | 日: 1997.02.12. 韓: |
제30화 | 実の赤い自動車 미노루의 붉은 자동차 | 야나가와 시게루 | 시마 미코 | 이케다 카즈미 | 日: 1997.02.19. 韓: | |
제31화 | パパのタイムカプセル 아빠의 타임캡슐 | 요코야마 마사시 | 타카다 준 | 고토 마사코 (後藤真砂子) | 日: 1997.02.26. 韓: | |
제32화 | 初ドライブはドキドキ!! 첫 드라이브는 두근두근!! | 오오하시 유키요시 | 혼다 카즈유키 | 하라 히로시 | 하야시 케이코 | 日: 1997.03.05. 韓: |
제33화 | あたふた! おたふくかぜ 허둥지둥! 볼거리 | 야나가와 시게루 | 이이지마 마사카츠 | 오오니시 타카코 | 日: 1997.03.12. 韓: | |
제34화 | 小鳥のテブラデスキー 아기새 데브라데스키 | 綴爆 | 이이지마 마사카츠 | 치기라 유리 | 日: 1997.03.19. 韓: | |
제35화 | 一人ぽっちのおるすばん 혼자만의 집보기 | 토미타 스케히로 | 타카다 준 | 사다미츠 신야 | 니시노 리에 (西野理恵) | 日: 1997.03.26. 韓: |
[1] 이거 때문에 발매 당시에 욕을 엄청나게 먹었다. 제본 상태도 엉망이고 단편도 없었지만 결정적으로 번안으로 익숙해진 이름을 바꿔버린 게 가장 컸다. 강백호나 김전일이라고 하면 다들 잘 알지만 사쿠라기나 긴다이치라고 하면 잘 모르거나 크게 어색해하는 것과 동일한 상황.[2] 참고로 여기에 아기공룡 둘리, 리니지, 나그네 검객(바람의 검심 해적판 이름), 기타 등등 한일 만화들이 참 수두룩하게 들어가있다. 반대로 추천 만화는 맹꽁이 서당과 먼나라 이웃나라 같은 겨우 5종![3] 당장 카카오페이지 등 댓글만 봐도 그런 반응이 많다.[4] 여고생들은 사관생도에게 환상을 가진 경우가 많다.[5] 거지에 음유시인 역이었는데 방에서 기어나와 처절하게 밥을 구걸한다. 그 와중에도 이치카를 '방귀쟁이 아가씨'라고 불러서 놀리는 것은 빼먹지 않는다.[6] 여담으로 번역판에서 처음 등장했을때는 이름이 문영기로 번역되었었다. 히토시 지못미[7] 히토시 할머니 曰, 엄마를 닮아 외모가 평범하단다. 여담으로 히토시의 할머니는 상당한 미인인데, 아마 히토시의 아버지가 할머니를 많이 닮은 듯 하다. 다만 둘째 고모는 형제들과 다르게 생긴걸로 봐선 할아버지를 닮은듯..[8] 코믹스판에만 등장.[9] 오죽하면 스구루가 자신의 정체(?)를 밝히자 타쿠야가 깜짝 놀랐을 정도. 타쿠야뿐 아니라 급우들 모두 정체(?)를 알자 경악했다.[10] 그래서 보육원의 교사들은 그 실체(?)를 보기 위해 늘 혈안이 되어 있다.[11] 특히 보육원의 선임 보모로부터 항상 주의를 받는다.[12] 하지만 작중에서 선글라스를 벗은 모습은 나오지 않는다. 유치원 대항 스모대회 때 선글라스를 안 쓴 고교시절 사진을 공개하려했으나,이 나오지만 미노루가 눈 부분을 매직으로 칠하는 바람에 볼 수 없게 돼버렸다.[13] 당연한 이야기다. 부모는 어떠한 경우에도 자기 자식만이 문제가 없다라는 생각을 해선 안된다.[14] 전에 부임했었던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 사건이 일어나 자기 반 학생(피해자)이 자살했기 때문에 교사로서 그 아이를 좀 더 챙겨주지 못했다는 트라우마가 있었다.[15] 한국의 세는나이로는 20세로 간신히 미성년자를 넘어선 나이.[16] 토모코는 돌아 가는길에 "시호씨가 밝아져서 다행" 이라고 하였으나 타쿠야는 걱정을 하였고 세이치는 도움의 손길을 바라고 있었고 그 도움을 줄수 있는 사람이 남편이라는걸 정확히 꿰뚫어 보고 있었다.[17] 하루미가 "사정은 모르지만 애 키우는걸 쉽게 생각하면 안돼지. 그러다 애한테 나쁜 영향을 끼칠수도 있으니까.","자네 부인은 강한사람인가?" 하였을때 어린시절을 떠올리는 듯한 묘사가 있는데 카스가 준의 아버지 또한 가정이나 자식에게 무심한 인물이었던듯 하다. 또한 아이를 때린걸 알았을때의 반응과 이때의 묘사를 보면 어머니께 학대를 받으며 자랐다는것을 쉽게 알수 있다. 결국 학대는 되물림 된다는 것을 작가는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그 와중에 "토모코는 강해요^-^"라고 라고 말하는 세이치와 "알고있어"라고 대답하는 하루미의 개그컷은 덤[18] 일본 이름의 한자를 그대로 옮겼는데 딱 자연스러운게 걸렸다. 물론 국내에서 유명한 어느 목사님과는 상관없다.[19] 하루미가 유카코와 결혼하기로 결심하자 한 말이 압권. "다행이네. 너를 경멸할 일이 없어서."[20] 계속해서 가족을 사고로 잃고 이번에는 미노루까지 잃는 게 아니냐면서 눈물을 보이는 하루미를 다독이는 장면이 있는데 그간 완벽 초인에 가까운 모습을 보였던 하루미가 거의 최초로 정신적으로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며 남에게 기대는 장면이다.[21] 이때 유우키의 대사가 간지 폭풍이다.[22] "운명이라..있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내가 믿는 운명은 인간이 만드는 거야. 인간으로써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야. 니가 말하는 운명이라는게 있다면 인간의 생과 사를 담당하는 의료진은 운명에 저항하고 있다는게 되는건가? 내가 담당한 환자들 중에는 예기치 못한 곳에서 어쩔수 없이 죽음에 직면하게 된 환자들이 많아. 하지만 끝까지 포기하진 않지. 난 항상 생각해. 생이라는것에 매달려라. 살고 싶으면 최후의 최후까지 대항하라고. 운명(運命) 이라는 글자를 생각해봐. 생명을 운반하는거야. 그걸 누군가에게 좌지우지 되고 싶진 않아. 바꾸고 말거야. 저항하고 또 저항할거야. 내 말 잊지 마라. 그리고 친구의 아이라서가 아냐. 의사로써 최선을 다할꺼다."[23] 다만 엄마쪽에서는 매우 놀라 이후로 미노루와 놀지 말라고 주의를 줬다. 눈앞에서 제 자식을 블럭으로 때리고 밀어 넘어뜨리고 걷어차버렸으니 당연한 것.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아직 유아들인데다 타쿠야가 정중히 사과했고, 나중에 미노루가 사과까지 한데 더해 마사 본인이 괜찮다고 하니 결국엔 허락했다.[24] 수요일 6시로 이동.[25] 다만 이쪽은 원작의 초반부만 애니화하고 이후 내용을 싹 다 오리지널 에피소드로 구성한 탓에 원작 팬들이 매우 싫어한다. 원작자는 말할 것도 없고.....[26] 특히 주유랑 성우는 집안마다 한명씩은 다 있다고 볼 정도. 아기부터 소년, 소녀, 성인 여성까지 정말 다양한 역할로 출연했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미작동)